가상광고
1. 가상광고(Virtual ADvertisement)란?
- 가상광고의 개념
. 실사 TV화면에 컴퓨터로 광고할 내용을 그래픽 처리하여 합성시키는 방식으로
. 드라마나 영상물 촬영 당시에는 각종 소품에 광고물이 들어있지 않지만 촬영 후에
필요에 따라 원하는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
- 개념등장 배경 및 목적
. TV 시청자들이 광고방송이 출현되면 채널을 돌리는 등 광고에 대한 기피현상을 해소
. 기존의 광고개념인 방영시간을 별도로 할애하지 않고 드라마나 스포츠 방영 시
소비자가 의식하지 않도록 특정 광고를 자연스럽게 표출하여 구매력을 자극하기 위함
2. 가상광고의 특징 및 기존 광고방식과의 차이
- 가상광고의 특징
. 오래된 드라마나 영화 속에도 광고를 삽입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극대화
. 촬영당시 광고를 위한 특정회사의 소품을 준비하기 위한 노력이 불필요하여
유연성 확보
- 광고방식별 차이
구분 |
간접 광고 |
가상 광고 |
어원 |
PPL(Product PLacement) |
VAD(Virtual ADvertisement) |
광고물 삽입방법 |
영상물 제작 전에 소품을 준비 |
영상물 제작 후 소품에 덧씌우기 |
이해 관계자 |
지상파방송사,가상시스템 업체 반대 (상업화를 통한 방송시장 확대) |
인쇄매체업계, 시청자 찬성 (시청자주권침해, 광고시장 약화) |
소요기술 |
별도의 기술 불필요 |
영상획득, 객체인식, 디지털합성기술 |
광고 방식 |
동적(대상물을 직접 촬영) |
정적(대상물에 로고나 문자를 간접적으로 부착) |
- 기타 광고방식
. 중간광고 : 드라마 도중에 일방적으로 방송을 중단하고 광고 후 드라마를 계속하는
방식으로 현행의 CATV중 영화나 바둑 채널에서 볼 수있음
. 토막광고 : SPOT Campaign이라고도 부르며 전국적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
광고가 아닌 지역 시청자를 대상으로 광고하는 방식
3. 활용 모델 예시
- 드라마에 등장하는 소품(컵, 전화기, 액자 등)에 원하는 광고를 덧씌우기 하는 방식
- 사례적용 방식 : 주인공이 사용하는 휴대폰의 상표를 특정회사 상표로 바꾸어 시청자로
하여금 인지도와 구매력을 높이게 함
- 활용사례
. 2002 월드컵 국내 최초 적용하였으나 아직 법제화 되지 않음
. 미국 CBS사 시트콤 : ‘예스, 디어’에 적용 중
- 가상광고 시스템 개발사 : 미국 ‘마라톤 벤처‘ 社
전자신문 06.2.28 13면 ‘가상광고’ 기법 뜬다.